*이기적 영진닷컴 Youtube Link - https://www.youtube.com/watch?v=6nO3ZvVGF4A&list=PL6i7rGeEmTvp_MYm0zuiFe7COrM3endfu&index=25
다양한 인터넷 서비스들에 대해서 살펴보겠다.
웹 서비스이다.
WWW 서비스라고도 부르고 웹 서비스라고도 부른다.
HTT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해서 멀티미디어와 하이퍼텍스트를 통합한 정보 검색 시스템이라고 얘기를 하기도 한다.
인터넷이 연결된 전세계 컴퓨터의 모든 문서를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컴퓨터 환경에서 검색이 가능하게 해준다.
또한 다양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웹 서비스는 분산 클라이언트 서버 모델을 기반으로 한다고 일반적으로 얘기를 한다.
서버 한 대에 수십대의 흩어져있는 클라이언트들이 서버에 접속해서 서비스를 받고 있는 형태이기 때문에 웹 서비스는 분산 클라이언트 서버 모델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웹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해서 서로 다른 개발 환경이나 운영체제에서도 상호 통신이 가능하게 지원해준다.
메일 서비스
컴퓨터 사용자끼리 편지를 주고 받게 하는 서비스로 일반적으로 MTA, MUA, MDA로 구성되어 있다.
MTA는 메일 서버에 메일을 전달해주는 역할
MUA는 메일을 작성하고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MDA는 수신자 메일박스에다가 메일을 전달하는 역할
일반적으로 메일 서비스를 지원해주는 프로토콜로는 SMTP, POP3, IMAP4가 있다.
SMTP는 메일을 보내거나 메일 서버간의 메시지 교환을 해주는 프로토콜
POP3와 IMAP4는 메일 서버에 도착한 메일을 사용자 컴퓨터한테 송신할 때 수신할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
MIME(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은 멀티미디어 전자우편의 표준으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아스키 형식으로 변환하지 않고도 전자우편송수신하기 위한 SMTP의 확장 규격
SMTP 뿐만 아니라 MIME에도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메일 송신 프로토콜
FTP 서비스
파일 전송 프로토콜로 TCP/IP에 의해서 제공되는 호스트자들 간의 대량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
이것은 패시브 모드와 액티브 모드로 구분할 수 있다.
패시브 모드는 FTP 서버가 지정해준 포트로 클라이언트가 트래픽을 송수신 하는 것
액티브 모드는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포트로 FTP 서버가 트래픽을 송신하는 모드
두개의 포트를 사용
20번 21번
20번: 일반 데이터 전송용
21번: 제어 데이터 전송용
FTP는 일반 사용자 접속은 당연히 허용. 익명의 접속도 허용. 회원이 아니더라도 계정을 부여 받지 않더라도 로그인을 해서 파일을 다운받을 수 있거나 업데이트를 할 수 있게 해놓았다.
서버 차원에서는 클라이언트들에게 서비스를 지원할 목적으로 익명의 접속을 유도해서 유로로 전환하거나 일단 무료 서비스 형태의 파일 전송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기에 익명 로그인을 허용하고 있다.
DNS 서버
DNS 서비스는 호스트 이름을 기반으로 IP주소를 변환하거나 IP주소를 기반으로 호스트 이름을 변환해주는 역할을 해주는 프로토콜을 보통 DNS라고 얘기를 한다.
가장 일반적으로 클라이언트들이 많이 사용하는 서비스 중에 하나가 DNS 서비스라고 볼 수 있다.
DNS의 특징은 일단 DNS 서버들이 분산되어 있고 중앙 집중식이 아니고 여러 대로 분산되어 있고 트리 형태로 상호 연관관계를 가지고 있다.
일반 최상위 도메인은 조직 계열에 따라 사용 가능하고
일반적으로 도메인명의 길이는 3자 이상이며 조직 종류에 따라 사용하는 이름이 다르다.
Telnet과 SSH 서비스
다른 컴퓨터에 로그인하는 서비스를 보통 원격 접속 서비스를 받는다고 얘기를 하는데 이 때 사용된느 프로토콜이 Telnet과 SSH이다.
사용자가 서버에 접속해서 서버 관리나 혹은 파일 편집이나 이러한 작업을 텍스트 모드 환경에서 실행할 수 있게 도와준다.
텔넷과 SSH의 차이점은
텔넷은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의 주고받는 정보가 바이트 형식으로 주고받는다면
SSH는 DES나 RSA같은 암호화기법을 사용해서 전송을 한다.
텔넷보다는 SSH가 안전한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고 있다.
SSH는 암호화 기술과 더불어 압축 기술도 제공하고 있어서 암호화를 통해서 늘어난 데이터를 크기를 조절해서 클라이언트에게 전송을 하기 때문에 전송 지연같은 것들은 줄일 수 있다.
NFS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의 약자를 딴 것.
네트워킹 기반으로 다른 시스템과 파일 시스템을 공유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서버 프로그램으로 이해하면 될 것 같다.
1984년도에 sun마이크로 시스템사에서 개발한 프로토콜로 원격지에 있는 서버에 특정 디렉터리를 마치 자신의 시스템의 하위 디렉터리처럼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토콜.
일반적으로 파일을 공유해서 사용을 하려고 할 때 NFS라고 하는 프로토콜이 지원이 된다. 해당 서비스가 지원이 된다.
NFS는 수행이 되려면 포트 맵이 먼저 수행이 되어야만 서비스가 개시가 될 수 있다.
RPC에 연결되어 관여하는 데몬을 보통 포트맵이라고 얘기를 한다.
RPC는 리모트 프로시저 콜. 동적으로 서비스와 포트를 연결할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
일반적으로 서비스를 하려면 서비스와 포트를 연결을 시켜주어야 하는데 정적인 매핑 방법이 있고 동적인 방법이 있다.
정적이라 얘기를 하면 /etc/service 라는 파일에 가서 어떤 서비스에서는 어떤 포트랑 연결해서 할 것이다라고 수동적으로 매핑을 해줘야 되는 반면
RPC를 이용을 하면 서비스와 포트가 다이나믹하게 구성이 되기 때문에 유연하게 작업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RPC 바운드라고 하는 것을 이용해서 이러한 작업이 진행된다.
감사합니다.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마스터 2급] 03-03-01 기술 동향 (0) | 2024.11.25 |
---|---|
[리눅스 마스터 2급] 03-02-03 인터넷 서비스의 설정 (0) | 2024.11.25 |
[리눅스 마스터 2급] 03-02-01 네트워크 개념 (0) | 2024.11.25 |
[리눅스 마스터 2급] 03-01-02 X-윈도우 활용 (1) | 2024.11.25 |
[리눅스 마스터 2급] 03-01-01 개념 및 사용법 (2) | 2024.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