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애드삭 - 제일 많이 사용

유니박 - 최초의 상업용 컴퓨터 (GIGO: 잘못된 자료가 입력되면 잘못된 자료가 나온다는 수동성 강조)

 

일괄 처리: 한꺼번에 모아서 처리

실시간 처리: 바로 즉시 처리하는 방식

다중 프로그래밍: 한 번에 여러 개의 프로그램이 동시 동작

시분할 처리: 시간을 나누어서 처리하는 방식

OCR: 공공 요금 청구서, OMR: 시험 답안지, MICR: 수표나 어음에 쓰이는 자기 잉크 문자 판독기, MIS: 컴퓨터가 회사에 도입되기 시작

디지털 컴퓨터 : 셀 수 있는 자료를 취급

아날로그 컴퓨터 : 셀 수 없는 자료를 취급

하이브리드 = 디지털 컴퓨터 + 아날로그 컴퓨터

워크 스테이션: 데스크톱 컴퓨터와 비굫해볼 필요가 있음, RISC 프로세서를 사용, 서버 역할 (자료를 제공하는 기능)

HZ: 1초에 1번 주기가 반복됨

MIPS: Million Instructions Per Second (1초에 백만개의 명령어 실행)

클러스터링: 여러 대 컴퓨터를 단일 시스템으로 사용하는 기능

듀얼: 하나가 고장나면 다른 컴퓨터가 계속 업무를 처리하는 방식

듀플렉스: 하나가 고장나면 대기 중인 다른 컴퓨터가 그 기능을 수행하는 방식

레코드 자료: 논리 레코드 (기억 장치의 성질이나 한계에 지배받지 않고 그것이 갖고 있는 자료나 정보의 특성에 따라 결정되는 레코드)

블록: 물리 레코드: 여러 개의 논리 레코드들의 집합체

밀리 세컨드: 10의 -3승 (1/1000)

마이크로 세컨드: 10의 -6승

나노 세컨드: 10의 -9승

피코 세컨드: 10의 -12승

펨토 세컨드: 10의 -15승

아토 세컨드: 10의 -18승


"-3씩 더해가면 된다"

ASCII 코드: 데이터 통신용 코드

EBCDIC: 주로 IBM 대형 컴퓨터에서 기본 부호로 사용되고 있다.

유니코드: 모든 문자로 2바이트로 표현할 수 있는 국제 표준 코드

완성형 한글 코드: 정보교환용

조합형 한글코드: 정보처리용

병렬구조: 여러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형태

디코더: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상태로 변환

인코더: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상태로 변환

누산기: 연산의 핵심 장치

2의 보수: 연산에 사용되는 음수로 변환해준다

상태 레지스터: 연산중에 발생하는 여러가지 상태값(올림수, 부호...)을 기억(PSW)

클럭 주파수: 컴퓨터 시스템에서 기본적인 시간 신호, 

BIOS: Basic Input/Output System의 약자로 컴퓨터의 기본 입력 및 출력 시스템을 관리하는 펌웨어

POST(Power-On Self-Test): 컴퓨터가 전원을 켤 때 실행되는 자가진단 프로세스

가상 메모리(Virtual Memory)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실제 메모리(RAM)의 한계를 극복하기 윟해 사용되는 메모리

버퍼 메모리(Buffer Memory):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임시 공간

ReadyBoost: 주로 시스템의 메모리 부족 상태를 완화하고 전반적인 성능을 개선하는데 사용된다

100mm/s 는 1초에 100밀리미터의 높이로 쌓겠다는 것을 의미

IPM: 주로 스캐너나 복합기 같은 이미징 기기에서 문서를 이미지로 스캖하거나 출력하는 속도를 측정할 때 사용

PPM: 분당 인쇄되는 페이지 수

인터프리터: 목적 프로그램을 생성하지 않는다.

  UML(Unified Modeling Language)은 객체 짛향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표준화된 언어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