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코딩 브이로그

네트워크 거시적으로 살펴보기(2) 본문

혼자 공부하는 네트워크 (복습)

네트워크 거시적으로 살펴보기(2)

표준프레임워크 풀스텍 개발자 홍의표 2024. 10. 20. 20:13

안녕하세요, 혼자 공부하는 네트워크를 공부하고 학습한 자료를 남깁니다.

  • 네트워크의 범위에 따른 분류

Local Area Network는 근거리 네트워크

Wide Area Network는 원거리 네트워크를 의미합니다. 먼 곳 까지 연결한 네트워크.

  • LAN(Local Area Network)

가정, 사무실 네트워크는 대부분 LAN이다.

한정된 네트워크는 대부분 LAN이다.

  • WAN (Wide Area Network)

LAN과 다른 LAN을 연결하는 광역 네트워크.

다른 나라의 가정에서 다른 나라의 가정으로 연결이 필요할 때.

KT, LGU+, SK 등이 있다.

WAN에 연결 가능한 회선을 임대해주는 등 WAN과 관련한 다양한 서비스들을 제공한다.

우리가 사용하는 스마트폰 인터넷 요금은 WAN 연결을 위해 ISP 업체에 납부를 할 것이다.

  • 네트워크를 조금 더 세밀하게 나누어 보자

CAN(Campus Area Network) - 학교 또는 회사의 여러 건물 단위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 도시나 대도시 단위

  • 어떻게 메시지를 교환하는지에 따른 분류

우리가 인터넷에서 주로 사용하는 메시지 교환 방식은 '패킷 교환 방식'이다.

  • 회선 교환 방식 (회선 교환 네트워크)

회선을 설정한다는 것은 두 호스트를 연결했다. 또는 연결한 전송로를 예약했다. 또는 전송로를 확보했다. 등을 의미한다.

회선 경로가 확보되면 호스트끼리 서로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회선 스위치는 호스트 사이의 일대일 전송로를 확보하는 네트워크 장비이다.

  • 회선 교환 방식의 장단점

메시지 전송로를 예약만 해놓고 조금 메시지를 전송했다. 그러면, 회선을 점유하고 있기 때문에 이용 효율이 낮다.

끊임없이 메시지가 흐르고 있어야만 회선의 이용 효율이 높아진다.

큰 파일을 다운로드 받는다면, 한 번에 컴퓨터에 도달하는 것이 아닙니다. 패킷들로 분리되어서 송신되고 컴퓨터에서 재조립되어서 만들어진다.

  • 패킷 스위치

개발자로서 메시지 송수신을 공부한다면, 패킷을 공부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패킷은 영어로 소포라는 뜻이다. 택배랑 비슷한 개념이다.

네트워크를 통해서 패킷을 주고 받는 과정은 일상생활 속에서 소포를 주고 받는 것 또는 택배를 주고 받는 과정과 다르지 않다.

실제로 주고 받고자 하는 정보는 페이로드(payload)라고 부른다.

택배를 보낼 때 택배만 뚝하고 보내지 않는다.

송장도 같이 박스에다가 붙여서 택배를 보낸다.

네트워크 패킷도 마찬가지입니다.

어떤 호스트가 보낸 패킷인지, 누구에게 가야하는 패킷인지 알 수 있다.

패킷의 기본구조를 토대로 어떻게 호스트 끼리 메시지를 주고 받는가? 를 알아 볼 예정이다.

 

감사합니다.

참고 url - https://www.youtube.com/watch?v=FVoPnnC12k8&list=PLVsNizTWUw7HfOCgvlfHIDPPo3TE-2iQM&index=6